본문 바로가기
일상·생활 정보

해외 직구 관세 기준·면세 한도, 2025년 쉽게 정리해봤어요

by 행복드림3 2025. 11. 20.

해외 직구, 한 번 해보면 참 편하고 가격도 착해서 자꾸 사게 되죠.
저도 처음엔 무조건 저렴하다고 생각했는데, 생각지 못한 세금 때문에 돌려본 적이 있어요.
그때 알았어요. “직구는 싸게 사는 게 아니라, 똑똑하게 사는 거구나.”
그래서 2025년 기준으로 꼭 필요한 내용만, 어렵지 않게 정리해 봤습니다.


해외 직구란 무엇일까요?

말 그대로 해외 사이트에서 직접 구매하는 방식이에요.
아마존, 아이허브, 알리익스프레스, 큐텐처럼 국내보다 저렴하거나
국내에 없는 제품을 구매할 때 많이 이용합니다.
다만, 세금 기준을 모르고 구매하면 예상보다 비싸질 수 있어요.


2025년 해외 직구 면세 한도, 이렇게 기억하세요

           출발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국가면세 한도
미국발 200달러 이하 면세
그 외 국가 150달러 이하 면세

✔️ 중요 포인트

  • 같은 날 들어온 주문 금액은 합산돼요.
  • 배송대행지를 끼워도 합산 적용됩니다.

즉, 여러 번 따로 주문해도 도착 날짜가 같으면 합산될 수 있어요.
저는 그래서 배송 일정도 꼭 따로 잡습니다.


금액과 상관없이 무조건 세금 나오는 품목

이건 헷갈리면 안 돼요. 금액이 낮아도 과세!

  • 건강기능식품 (비타민 포함, 특히 6병 초과 시)
  • 화장품 (12개 초과, 100ml 이상 단일 제품)
  • 의약품, 주류, 담배
  • 사치품(일부 명품 가방·시계 등)
  • 일부 식품류

💡 팁:
‘몇 개까지만 가능할까?’ 애매하면 그냥 조금 적게 주문하는 게 안전한 소비입니다.


세금은 얼마나 나올까?

면세 기준을 넘기면 아래 세금이 붙습니다:

  • 관세: 보통 8~13% (품목마다 다름)
  • 부가세: 총금액의 10%
  • 기타 개별소비세: 특정 품목만 적용

📌 예시
미국에서 250달러짜리 전자제품 구매 시
→ 관세 약 8% + 부가세 10% 적용 가능


통관할 때 알아두면 좋은 것들

  • 개인통관고유부호 필수 (2025년 현재 전 건 의무)
  • 주소·수취인 정보 정확히 입력
  • 같은 품목 반복 구매는 상업용으로 오해될 수 있음

저도 처음에는 이름 오타 때문에 배송이 며칠 지연된 적 있어요.
한 글자 차이라도 꼼꼼히 확인하는 게 마음 편하더라고요.


자주 묻는 질문 (FAQ)

Q. 두 건을 각각 주문했는데 같은 날 도착하면 면세될까요?
→ 같은 날 입항하면 합산돼서 면세 안 될 수 있어요. 배송날짜 분리 추천!

 

Q. 가족 이름으로 각각 주문하면 합산 안 되나요?
→ 수취인이 다르면 원칙적으로 분리되지만, 반복되면 조사 대상이 될 수 있어요.


마무리

해외 직구는 가격도 좋고 선택 폭도 넓지만, 세금 기준을 알고 살 때 가장 알뜰한 소비가 됩니다.
2025년 기준을 잘 기억해서, 꼭 필요한 제품을 똑똑하게 장바구니에 담아보세요.
앞으로도 실속 있는 정보들, 따뜻하게 전해드릴게요. 감사합니다.